참고 : 위키백과(ko.wikipedia.org/wiki/%EC%BB%B4%ED%93%A8%ED%84%B0)
컴퓨터
: 전자 회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과 정보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, 빠르게 계산, 입력된 데이터를 정해진 프로그래밍에 따라 처리하는 전자 기기.
1. 어원
: 생각을 정리하며 수식을 따라 계산하는 것.
2. 컴퓨터의 기능
입력 / 제어 / 기억 / 연산 / 출력
3. 역사
4. 분류
사용 목적 : 노트북, 슈퍼 컴퓨터, 단말기
규모 : 임베디드(내장형), 데스크톱, 서버급
제조 기술 : 직렬, 병렬
수행 능력 : 범용, 특수 목적
운영 체제 : 윈도우, 매킨토시, 유닉스, 리눅스
5. 구성
소프트웨어 / 하드웨어
하드웨어 : 중앙 처리 장치(CPU), 주기억 장치(RAM), 입력 장치(키보드, 마우스), 출력 장치(모니터, 프린터)
6. 구성 품목
< 메모리 >
롬
- 읽을 수만 있음
- 펌웨어 저장 : 가장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
- 전원을 켜면, 컴퓨터는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 뒤, 나머지 운영 체제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다른 저장 매체에서 메인 메모리로 올려 놓은 다음 실행
램
- 읽고 쓸 수 있음
-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을 램에 올려서 명령을 수행, 결과물을 잠깐 동안 램에 저장했다가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에 저장
< 중앙 처리 장치(CPU; Central Processing Unit, MPU; Microprocessor Unit) >
: 메인보드 안에 상주하며 메인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 처리
: 컴퓨터의 핵심 부품
< 입출력 장치(I/O Device) >
< 명령어/함수 >
: 원래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만 인식, 그러나 사람들이 코볼이나 C++ 등 여러 가지 고급 언어 개발하여 기계어 번역 프로그램 개발 성공
< 운영 체제(OS; Operating System) >
: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혹은 필요한 작동을 사람 대신 자동으로 하기 위해 개발됨
: 보통 일반 프로그램이 돌아가기 위한 제반적인 것을 제어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
: 주 목적은 주변 기기와 프로그램 메모리, 사용자 권리를 제어하고 파일을 관리하는 것
: 컴퓨터나 기종에 따라 운영 체제 다름
: 범용 운영 체제(윈도우, 유닉스, 리눅스 등) / 특별 운영 체제(휴대폰, MP3 플레이어 등의 전용 운영 체제)
< 저장 매체 >
비디오 테이프 - HDD 하드디스크 - SSD 플래시 메모리
7. 응용 분야
: 초기 디지털 컴퓨터는 군사용
< 네트워크와 인터넷 >
기원
- 1970년대 미국 전역 연구소의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, 아파넷
-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의 발달로 운영 체제와 응용 프로그램들이 다른 자원에도 접근 가능해짐
- 휴대통신 기술과 결합한, 유비쿼터스
보안과 해킹
- 크래킹 <-> 보안
'공부 > 컴퓨터 공학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VC 패턴 (0) | 2021.02.03 |
---|---|
컴퓨터 네트워크 (0) | 2021.01.26 |
컴퓨터의 역사 (0) | 2021.01.25 |
01. 하드웨어의 종류 및 CPU의 기초 (0) | 2021.01.25 |
컴퓨터공학 기초 1강 . 컴퓨터의 역사 (0) | 2021.01.25 |